전주혁 2022. 7. 29. 15:01

Module 6. 자율주행과 레이더 센서의 이해는 LG이노텍 김경석 연구위원님이 강의를 하셨고 Module 6에 관한 모든 내용은 LG Aimers 및 LG이노텍 김경석 연구위원님으로부터 나왔다.

 

 

 

 

자율주행 시장동향

 미래 모빌리티 메가 트렌드 = ACE

 - A(Autonomous driving) : 운전자 개입 없이 스스로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한 자율주행 고도화

 - C(Connectivity) : 고도화된 연결형 자율주행을 통한 탑승자의 안전 및 교통관리 효과성 극대화

 - E(Electrification) : 높은 에너지 효율성 기반 1회 충전으로 최대 주행거리 확보

 

 

자율주행 단계 고도화

 - 0단계 : 수동 운전(No system)

 - 1단계 : 주행 보조(Feet-off)

 - 2단계 : 부분적 자율주행(Hands-off)

 - 3단계 : 조건적 자율주행(Eyes-off)

 - 4단계 : 고도 자율주행(Mind-off)

 - 5단계 : 완전 자율주행(No driver)

 

 

 

자율주행 센서 방향

 1. Camera

   - 장거리 및 인식률 개선을 위한 고화소화 / 픽셀 사이즈 소형화 / 저조도 개선

   - 고온 동작의 품질 확보를 위한 Lens / Housing 구조 최적화

   - 생산에서 Active Alignment와 Calibration 공정 기술 차별화

   - 2Mp 상용화 → Lv3) 5Mp ~ 8Mp → Lv4/5) 12Mp ~15MP

 

 2. Radar

    - 고해상도 4D Imaging Radar 구현을 위한 안테나 및 신호처리 S/W 기술 발전

    - Perception SW 고도화로 사물의 형상 구분 및 상황 예측까지 성능 발전

    - 생산에서는 평탄도 관리 및 Calibration 및 EOL 공정 기술 고도화

    - Lv2/3) ADAS용 3D Radar → Lv4/5) 4D Imaging Radar

 

 

 3. LiDar

    - ADAS용 LiDAR는 차량 신뢰성, 디자인, Cost 우선순위로 진화

    - Lv4/5를 위해 Redundancy를 고려한 Sensor Fusion 핵심부품으로 성장

    - M-LiDAR (장거리 200m↑ ), S-LiDAR (단거리 80m)

 

 

Level 3 -> 센서 수의 증가

Level 5 -> 센서 수의 증가보다 센서 기능 융복합화와 정밀한 센싱 역량 요구

 

 

 

자율주행 센서별 비교

자율주행 Level 2/3 기준

 

 

 

Summary

 - 미래 모빌리티 메가 트렌드는 A.C.E

 - 자율주행 단계는 현재 Lv.3, `25년 Lv4, ’ 30년 이후 Lv5완전 자율주행화 예상

 - 자율주행 완성차는`35년까지 CAGR 3%, 자율주행 센서는 CAGR 7% 성장 예상

 - 자율주행 센서는 카메라, 레이다, 라이다, 5G C-V2X 통신, 오디오등이 필요

 - 기존 개별센서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센서 Pod 기술로 발전

 - 자율주행 설루션 업체별 Lv4 / Lv5의 상용차 중심의 자율주행을 개발 중