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LG Aimers(AI 전문가 과정)/Module 1. 품질과 신뢰성

Part 1. 품질 및 품질비용

by 전주혁 2022. 7. 18.

Module 1. 품질과 신뢰성은 한양대학교 배석주 교수님이 강의를 하셨고 Module 1에 관한 모든 내용은 LG Aimers 및 한양대학교 배석주 교수님으로부터 나왔다.

 

 

품질 및 품질비용

전통적 품질관리에서의 품질의 개념이란 -> 규격에 부합하는 것

 

품질을 보는 5가지 관점은

1 : 선험적 관점

2 : 제품 관점

3 : 사용자 관점

4 : 제조 관점

5 : 가치 관점

이 존재한다.

 

또한 품질의 구성요소는 제품특징, 무결함 으로 나누어진다. - 제품특징 : 판매수익의 증대에 기여하는 요소로 원가상승이 수반된다 - 무결함 : 재작업, 폐기처분 고객불만 등의 감소를 통한 원가절감에 기여하는 요소로서 무결함은 적합품질(제조품질)이라 볼 수 있으며 고객 클레임을 감소시킬 수 있다.

 

 

또한 품질의 유형은

1 - 요구품질 : 추상적 개념의 품질

2 - 설계품질 : 요구품질을 구체화 하는 기술수단

3 - 제조품질 또는 적합품질

4 - 사용품질 또는 시장품질 : 보전, 신뢰성등에 대한 인식

으로 구분을 지을 수 있다.

 

 

그리고 오늘날에 산업이 발전했기 때문에 품질 정의가 규격 적합성에서 고객 요구의 충족으로 변화했다.이렇게 품질 개념이 변화하면서 고객 기대에의 적응도에 관한 종합적 품질관리(TQC)가 정의 되었다.

 

 

종합적 품질이란?

 - 제품과 서비스는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고객에게 수용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점에서, 고객 지향적인 품질의 정의가 중요함을 말한다

 - 고객 만족의 관점에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(Q) 뿐만 아니라, 비용(C)과 납기(D)도 중요한 요소로 QCD(Quality, cost, Delivery)도 총체적 품질에 포함되어야 한다.

 - 투입자원과 생산과정, 최종 제품의 QCD를 포함하여 '광의의 기업의 질'로 부른다

 

 

저품질비용(COPQ : Cost Of Poor Quality)이란?

- 저품질로 인한 총 비용으로 6시그마에서 개선 project의 대상이다.

 

결국 저품질로 인해 드러난 실패 비용은 그 비용뿐만 있는것이 아니라 안보이는 비용들이 많이 숨어있다.

회계상 파악 가능한 손실은 보통 매출의 4~6%뿐이지만

회계상 파악 불가능한 손실은 매출의 25~30%나 된다.

 

 

 

이제 품질로 인한 상승 효과를 알아보도록 하자

FedEx의 품질비용 -> 1 : 10 : 100의 원리가 있다.

이것은 

이렇게 최대한 실수를 빠르게 발견해야 한다는 원리이다.

 

그렇게 품질 상승 효과는고품질을 제공하게 되면 -> 브랜드의 인지도가 상승 -> 높은 가격 형성이 되게 된다.

 

좋은 품질을 제공하여 고객 이탈율을 5% 줄이게 된다면 기업의 수익이 업종에 따라 25~82%까지 늘어나게 된다.

 

 

 

품질비용의 종류도 다양하다.

먼저생산자 품질비용을 보도록 하자 - 예방비용 : 처음부터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 - 평가비용 : 소정의 품질 수준을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 - 실패비용 : 소정의 품질 수준을 유지하는 데 실패하여 발생되는 비용이 중 실패비용은 전체 생산자 품질 비용의 약 70%를 차지한다.

 

 

기존의 품질비용은 품질이 개선되면 비용도 증가되었지만새로운 품질 개념에서 품질이 개선되면 비용도 감소된다.이러한 새로운 품질 개념에서는 6시그마가 중요하다.

 

 

품질에 영향을 주는 변동은 이상원인과 우연원인이 있다.

품질은 94% 우연변동과 6%의 이상변동에 의해 좌우되어진다고 데밍박사가 분석을 하였다.

 

 

이렇듯 기업들은 품질비용에 대해 복잡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품을 시장에 출품하는 것을 한번 더 깨닫게 되었다.